[closed] 도시명칭에 대한 제안

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요즘 개인적으로 바쁜 관계로 인하여 그 동안 정리하였던 내용들 정리하느라 늦었습니다.

오늘 먼저 말씀 드리려 하는 것은 도시 입니다. 지금까지 한국의 도시들은 정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아 Waze App에서 깔끔하게 표기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샘플 하고 싶은 곳은 제가 약 2년간 살았던 이태리의 볼로냐를 샘플로 하려 합니다.


먼저 Zoom Level 10에서의 Live Map 입니다.

그리고 Zoom Level 11에서의 Live Map 입니다.

Bologna아래에 Lavino Di Mezzo, Lippo, Calderara, Torre Verde, Castel Maggiore 등 여러 County가 존재 하는 것인데 이러한 것을 Road Type에 따라 정리하여 보기 좋게 설정해두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좋다라는 것을 보던 중 한국의 행정구역을 참고하였습니다.

그래서 위 자료 토대로 이렇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사진 자료가 너무 길어서 엑셀 파일 원본은 아래 링크를 사용하여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위 자료 토대로 정리를 하자면:

  1. 주요 고속도로와 기타 고속도로에서는 도/특별/자치시명칭으로.
  2. 주 도로와 일반 도로에서는 시/군 명칭으로 설정.

하지만 정리해야할 내용이 있습니다.

  1. SA / IC / TG의 명칭이 도시명으로 기입되어 있는 부분
    -> 이 내용은 삭제 되어야 하며 아래 Junction/Interchange로도 관리가 가능합니다.

참고 Permalink: https://www.waze.com/ko/editor/?env=row&lon=127.07668&lat=37.02383&layers=2981&zoom=5&venues=83296626.832769654.5862957

모두의 의견을 들어 보고 싶습니다. ^^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십니까?

늦었지만 모두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내용 잘 보았습니다. 여러가지로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아직은 Waze에 대해 잘 알 수 없어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1. 제안한대로 도시명을 기입할 경우, 예상대로 지도상에 보기 좋게 표출이 될지 궁금합니다.

    • 지역마다 도로의 종류와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서는 이상하게 표출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 Wiki에 제시된 편집규칙과 달라 혼란스럽습니다.

    • 도 및 지자체(시,군) 영문명칭 작성시 한글 음절마다 영문 대문자를 사용
      ( Wiki에서는 영문은 첫 자만 대문자를 사용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3. SA / IC / TG의 명칭이 도시명으로 기입되어 있는 부분

    • 언급한대로 삭제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대안으로 제시한 것처럼 IC, JC, Junction을 Place로 설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저도 다른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위 제시해주시는 문의에 대하여 답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 이 내용 관련해서는 통일된 지역명칭을 사용하고 해당도로의 시/군/도의 경계 변환이 있을 때 같은 명칭의 도시명이 중첩되면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명칭이 변경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보여드리는 Bologna의 지도 역시 저러한 형태를 base 하여 작성되었습니다. :slight_smile:

현재 Wiki에 제시된 편집규칙을 수정하고자 제안하는 것 입니다. 저는 한국사람이지만 모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지 않아 처음 한국어를 배울 때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왜냐하면 Gyeonggido의 경우 "경기도"로 발음해야할지 또는 "견끼도"로 발음해야할지 매우 고민했기 때문에 대문자를 각 음절에 사용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confusion을 없에기 때문이라 생각되었습니다.

  • 그러면 어떠한 방식으로 IC/JC/TG/SA등을 display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나을까요? IC, JC, TG, SA 모두 장거리 운행에는 꼭 필요한 정보라 생각 합니다. 처음 한국와서는 구글 지도 네비게이션이 안되서 하이드라이브를 썼었는데 그때 인상 깊었던 기능이 고속도로 이동 중 표시 되는 SA정보를 Waze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현재 Waze in general 하게 추가와 수정 필요한 기능을 Proposal 해보려고 준비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의견 감사드립니다. 이태리는 정말 보기 좋네요!

도시명칭에 대한 변경을 생각할때 가장 현실적으로 닥치는 문제는
숨어있는 다른명칭으로 인하여 표준과 다른 도시명이 튀어나온다는 것입니다.
이를 극복하고자, Wiki작성시 "주요도로"만 도시명을 기입하고 나머지 모든 도로는 도시명을 기입하지 않도록 작성하였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작성되어있는 도시명은 하위 도로체계에 도시명이 들어가 있어서 일일히 찾아서 수정하는건 사실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IC/JC/SA의 도시명 기입
이는 운전자 입장에서 작성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매주 500km이상 고속도로를 주행하는데요, 고속도로 주행시 지도상에서 확인해야 하는 것은 어디서 어느구간이 막히는지, 현재 어느구간을 지나가고 있는지 입니다.
이를 가장 명확히 볼수 있는것이 IC/JC/SA입니다. 따라서, 눈에 확연히 보일 수 있도록 도시명 기입을 제안한 것입니다. Place로 표시 가능하지만 실제로 App에 표시되는 글씨는 도시명에 비해 너무 작게 표시되어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고속도로 주행시에는 운전자는 내가 어느시, 어느군을 지나가고 있는지는 중요치 않은것이 현실입니다.

Wiki작성시 가장 중요시 했던것은 도로표지판(Road sign)과 App의 표시를 일치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순간적인 판단을 해야하는 운전시 직관적으로 표지판과 동일한 글자가 App에 표시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였습니다.
따라서, 음절별로 대문자를 넣지 않은 이유 역시 한국 Road sign의 영문표기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보시면 됩니다.

논의 주제와는 조금 비껴나간 이야기입니다만, 도시명 수정이 아주 그렇게 복잡하고 귀찮지만은 않다는 이야기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웨이즈 지도 편집시 이용할 수 있는 script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위키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https://wiki.waze.com/wiki/Scripts

얼마전에 많은 스크립트들 중에 Toolbox라는 걸 설치해보았습니다. 사용환경은 Chrome입니다.
https://wiki.waze.com/wiki/Scripts/WME_Toolbox

이걸 설치하고 그동안 제가 눈에 가시처럼 여기던 경상북도 경주지역 도시명를 모두 하나로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모두 세가지 도시명이 혼재되어 있었는데요.
경주 / 경주 Gyeongju / Gyeongju

Toolbox를 이용하니 제 편집창에서 특정 도시명을 사용한 도로만을 한꺼번에 선택할 수 있었고, 그래서 한꺼번에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인지하신다면, 조금 더 편하게 도시명을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시고 논의를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정작 중요한 도시명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조금 더 생각해보고 의견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조금 복잡하네요. ㅎ

만약, 대전광역시 내부를 편집한다고 생각하면,
Major(Minor) Highway에는 "대전광역시"라고 도시명을 기입하고,
Primary Street 와 Street에는 “남구” 또는 "유성구"라고 도시명을 사용하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건 뭐 서울을 비롯한 광역시에서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불편하긴 하겠지만, 수정해 놓으면 위에서 인용하신 볼로냐지역처럼 깔끔하게도 나올 것 같습니다.

이와 함께, 경북에서 가장 외진 곳 청송군 지역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Major(Minor) Highway에는 "경상북도"라고 도시명을 기입하고,
Primary Street 와 Street에는 "청송 Cheongsong"이라고 구역명을 기입합니다.

이게 참 애매한 것이, 지방소도시는 대걔 몇개의 읍과 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크기가 대동소이합니다.
청송읍이라고 해서 청송군내에 위치한 다른 읍면소재지와 규모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질 않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국도와 지방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rimary Street로는 연결조차 되어있지 않습니다.
실제로 편집을 하다가 노란색 중앙선이 보이는 도로가 나타나면, Primary Street로 설정하고 편집을 합니다.
그런데 도시명을 기입하면, 원래 청송읍에서 너무 떨어져 있다보니, 도시명 자체가 '청송’으로 설정이 되질 않지요.
Save 하려고 하면 에러가 나버립니다. 그래서 이런 지역을 편집할 때는 국도, 지방도에 도시명을 기입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위의 이야기는 이전에도 몇번 한 것 같습니다.

게다가 청송과는 조금 다른 예도 있습니다. 시내 도심권이 조금 크게 형성된 곳은 경주시, 영천시, 안동시, 영주시와 같은 "시"로 불리웁니다. 이 경우는 청송군의 경우에서 청송읍이 조금 더 커져서 "청송시"라고 불리우는 경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경주시만 하더라도 건천읍, 내남면, 외동읍, 안강읍 등등 주변에 조금 규모가 큰 읍면소재지가 있지요.

그래서 저 같으면 지방중소도시 및 군지역 같은 경우에는,
우선 도단위 지역명은 무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행정구역이 너무 큽니다.
그리고, Major(Minor) Highway에는 "청송 Cheongsong"이라고 도시명을 기입하고,
Primary Street 와 Street에는 각 읍면 소재지(청송읍, 부동면, 부남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를 기입하는 것이 차라리 옳다고 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청송군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은 곳은 "진보면"입니다.

그러면, Waze를 사용해 네비게이션을 하게되면, 어느 읍면 소재지인지는 명확하게 알 수 있겠지요.
8개에 해당하는 모든 읍면 소재지의 위치도 지도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구요.

하지만, 제 의견에 동의하실 분이 있을지는 저도 솔직히 의문입니다.
현실적으로 국내에 있는 국도의 대부분도 그려지지 않은 Waze 상황을 고려하면 말이죠.

WME Chatting 통하여 Duoh5님과 다시 상의 해보았으며 현 subject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현재까지 아직 develop 되지 않은 지역이 많기 때문에 세부 지역명은 제외.
    • 추후 다시 논의하는 것으로 정리.
  2. 대부분 '도’는 크게 필요하지 않음. 이로 시/군 레벨에서 정리하는 것이 제일 적합.
  3. JC/IC/TG는 표기 없이
    •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음에 따라 대체 제안을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토의 진행 된 내용을 토대로 수정해 보았습니다.

CTRL누르고 클릭하세요

마지막으로 정리해야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음절에 따른 대문자 표기 할지 말지?
2. 시/군등의 행정구역의 표기.

위 내용에 대하여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 음절에 따른 대문자의 표기
1-1. 타국의 예를 들겠습니다.
홍콩: 영문 표기 O
음절 표기 O
대만: 영문 표기 X
음절 표기 X
중국: 영문 표기 O
음절 표기 X
일본: 영문 표기 X
음절 표기 X
태국: 영문 표기 O
음절 표기 X
1-2. 영문 표기가 없는 지역도 많습니다. 하지만 한국어의 특성상 받침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Foreigner의 입장에서는 구분 해주는 것이 좋다라는 생각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 Road Sign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대/소문자로 인한 오류는 매우 낮은 확률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1-3. 영문 표기는 한국인 에게 크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시/군등의 행정구역의 표기
2-1. 공식 명칭의 사용이 필요 하다 느끼었습니다. 물론 편의를 위해서 수정을 하는 것을 좋지만 더 정확한 도로 탐색을 위해서는 공식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 됩니다.
2-2. 현재 특별/광역시 중 하나인 서울 Seoul은 ‘서울특별시 Seoul’, 대전 Daejeon은 '대전광역시 Daejeon’등으로 공식 명칭이 지정 되어있습니다.
2-3. 특별/광역시에 해당하지 않는 '도’의 하위 지역인 곳은 시/군의 표기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러한 이유는 한국 주소의 공식 명칭에 사용이 되기 때문입니다.

  1. 이 포스트는 길의 명칭에 사용되는 도시/City 명칭에 대한 내용만 다루고 있고 위의 내용에 있던 JC/IC/TG는 표기 없이 하는 것은 Junction/Interchange를 사용하는 Place의 도시/City 명칭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 됩니다.

위 두가지 정리 된 내용에 맞추어 많은 의견 부탁 드리겠습니다.

Wiki의 업데이트는 (이 내용 정리 되면서 바로 Update 하겠습니다.)

  1. 우선 음절에 따른 대문자 표기는 그 대상이 외국인이므로, 이해하고 인식하기 편한 쪽으로 방향을 잡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2. 행정구역도 Excel로 정리를 다 해주셨네요. :wink: 정리하신 내용에 동의합니다. 토의를 거쳐 위키에 반영되면 앞으로 혼선이 없을 것 같네요.

안녕하십니까?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군요…
아래 사항에 대한 제 생각입니다.

  1. 음절에 따른 대문자 표기 할지 말지?
  2. 시/군등의 행정구역의 표기.
  1. 현재 도로명은 도로주소법에 의한 도로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정한 영문도로명은 그동안 도로표지 영문표기, 도로명의 로마자 등 표기 방법 등 여러 규칙(법규)를 통해 논의를 거치면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작성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표기 방식은 또 다른 혼란을 야기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외국의 지명이나 고유명사를 글자만으로 정확하게 발음하거나 이해할 수 없듯이 우리나라 지명또한 로마자로 음절구분이나 다른 방법으로 다양한 모국어를 가진 외국인들에게 정확하게 발음을 전달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도로명도 하나의 고유명사로 이해하고 다른 주소와 마찬가지로 도로주소법에 정해진 영문도로명을 그대로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고속도로, 국도와 지방도 등 간선도로에 대해 우리가 논의한대로 기호로 구분된 도로번호를 앞에 표기하면 외국인도 기본적인 도로체계는 이해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는 것이 당초의 의도대로 도로표지판의 도로명과 WAZE에서 표출되는 도로명을 같게 하는 장점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1. 논의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느낌이 들지만…
    특별시와 직할시같이 규모가 큰 시는 구명칭을 기입해서 함께 표출되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도시들은 주도로와 일반도로가 충분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주도로에 대도시명, 일반도로에는 해당 구의 명칭을 기입한다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대도시를 주행할 때 도로명만으로 내 위치를 가늠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구 명칭이 표출되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내용은 다른 포스트를 통해 논의가 더 진행되었으면 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AnthonyJoo님께서 언급하신 내용 중 2번은 도시명에 '시’와 '군’을 붙이느냐 마느냐 하는 내용인 것 같은데, 아닌가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요.
원주/원주시 , 봉화/봉화군

아… 저도 조금 헷갈렸는데요…

엑셀로 제시하신 파일을 보니 특별시(직할시)와 도 이하 시군만 명시가 되어서 위와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시 군 을 표현하느냐 하는 문제라면 시 명칭은 빼고 군명칭만 사용하는 것이 직할시 이상 도시를 표현하는 방법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많은 일들을 해 주시고 도움을 주시는 바람에 의견을 제시하기가 매우 조심스러워서 보고만 있었는데요,
계속해서 논의가 진행된다고 하여 작은 의견 드립니다.

  1. 음절에 따른 대문자 표기 할지 말지?
  • 저는 굉장히 명확합니다. 표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한글을 배우는 목적이 아니면 음절나눔은 필요 없습니다. 우리나라 공식 영문표기의 원칙이 음절단위가 아니라 발음나는 대로 입니다.
  1. 시/군 등의 행정구역의 표기
  • 이 쪽은 저는 약간 중립이긴 한데, 영문만 보자면 지금 계속해서 -si, -gun 표기를 추진하고 계십니다. 이 단위는 필요 없다고 봅니다. 표기만 지저분할 뿐이지 도로안내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제 생각입니다만 시/군 은 행정적으로만 의미가 있지 Area 개념으로 보면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도로 표지판에서도 -si, -gun 표기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일전에도 comment 했었는데, 우리나라는 도로명주소시스템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www.juso.go.kr/
http://m1.juso.go.kr/gismap-new/MapIndex.do
정부에서 예산과 시간/노력을 들여 체계를 잡아 놓았는데, 이 쪽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 일관성 있어 보입니다.

소중한 의견들 올려주셔서 매우 감사합니다. 모든 사람의 의견이 모이면 더 나은 navigationing 환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 부분은 말씀하신 내용에 대해서 저도 많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추후 2 주간의 투표 기간을 통하여 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저도 주로 http://www.juso.go.kr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표기는 네비게이션을 통하여 목적지 검색에 사용 되는 것이 50%, 나머지는 waze app에서의 표기에 사용됩니다. 그래서 juso.go.kr에 제시되고 있는 주소 영문 표기방법을 이용하였습니다.

위 표를 근거로 사용한 논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행정구역명칭에서 특별시와 광역시의 경우 행정구역단위 (-si)생략 가능.
  2. 예시에 나와있는 것 처럼 한글과 영문 주소의 정식 사용을 위해서는 도/군 명칭이 필수 입니다. 많이 사용하시지는 않지만 Waze App에서 구글을 이용한 주소를 이용하게 되면 잘못 된 주소가 나오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단계에서는 시/군의 상위 도시명만 사용하고 추후 -구 단위를 Primary Road (주 도로)이하 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더 정확한 주소 검색을 통한 길 찾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현안 관련하여 링크 에서 투표 진행하고 있습니다. 구글 로그인 해서 투표 해주세요.

:slight_smile: